슬라임을 잡으면서 300년, 모르는 사이에 레벨MAX가 되었습니다(애니메이션 1기)
최근 수정 시각: ()
슬라임을 잡으면서 300년, 모르는 사이에 레벨MAX 가 되었습니다 (2021)スライム倒して300年、知らないうちに レベルMAX になってましたI've Been Killing Slimes For 300 Years And Maxed Out My Level | |||||||||||||||||||||||||||||||||||||||||||||||||||||||||||||||
|
1. 개요 [편집]
모리타 키세츠의 판타지 라이트 노벨 슬라임을 잡으면서 300년, 모르는 사이에 레벨MAX가 되었습니다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제1기. 감독은 키무라 노부카게, 방영 시기는 2021년 4월.
2. 공개 정보 [편집]
- 2019년 10월 19일, 애니화가 결정되었다.
2.1. PV [편집]
PV 제1탄 |
PV 제2탄 |
애니플러스 PV |
2.2. 키 비주얼 [편집]
키 비주얼 1탄 | 키 비주얼 2탄 |
키 비주얼 3탄 | 키 비주얼 4탄 | 키 비주얼 5탄 | 신 비주얼 |
3. 줄거리 [편집]
극히 평범한 회사원 아이자와 아즈사는 너무 일한 나머지 과로사해 불로불사의 마녀 아즈사로 이세계로 전생했다.
이전 삶에 대한 반성의 의미로 한적한 고원에서 느긋하게 슬로 라이프를 시작한 그녀.
슬라임을 사냥해 생활비를 벌고, 마녀답게 약을 만들어 산기슭에 있는 마을에 신세를 진다. 그 밖에 일은 딱히 없다.
그런 생활을 계속 보내는 가운데 그녀는 '고원의 마녀'로 알려지게 되었는데.
그랬더니 300년 후.
아즈사는 슬라임을 계속 사냥해 온 경험치로 어느새 레벨 99 = 세계 최강이 되어버렸다.
이러한 사실이 널리 퍼지자 실력에 자신 있는 모험가는 물론 결투를 하러 온 여자 드래곤이나,
아즈사를 엄마라고 부르는 정체불명의 여자 몬스터까지 몰려오게 되었는데...―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편집]
5. 설정 [편집]
6. 주제가 [편집]
6.1. OP [편집]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노래 | ||||||
작사 | ||||||
작곡 | 스즈키 신지(涼木シンジ) | |||||
편곡 | ||||||
| ||||||
|
6.2. ED [편집]
ED Viewtiful Days!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노래 | ||||||
작사 | 사카이 류지(坂井竜二) | |||||
작곡 | 모치다 유스케(持田裕輔) | |||||
편곡 | ||||||
| ||||||
|
7. 회차 목록 [편집]
회차 | 제목[4]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レベルMAXになっていた 레벨 MAX가 되어 있었다 | 키무라 노부카게 (木村延景) | 쿠로카와 아유미 (黒川あゆみ) 쿠보 미츠토시 (久保光寿) | 혼다 에미 (本多恵美) | |||
제2화 | 娘が来た 딸이 왔다 | 야스나가 유타카 (安永 豊) | 토미이 나나세 (富井ななせ) | 이케타니 요시아키 (池谷祥明) 오오시마 유키 (大嶋由葵) | |||
제3화 | エルフが来た 엘프가 왔다 | 후쿠시마 나오히로 (福島直浩) | 이시쿠라 켄이치 (石倉賢一) | 이마이즈미 류타 (今泉竜太) 쿠메타 요시유키 (粂田佳之) | 이마이즈미 류타 무카에 치하루 (迎 千葉瑠) 타니구치 시게노리 (谷口繁則) 모리야 하루키 (森谷春樹) 히라노 쇼 (平野 翔) 와타나베 잇페이타 (渡辺一平太) | ||
제4화 | ドラゴンの結婚式に行った 드래곤의 결혼식에 갔다 | 야스나가 유타카 | 오오카와 타카히로 (大川貴大) | 코지마 케이스케 사이타마 (埼玉) | |||
제5화 | 幽霊が出た 유령이 나타났다 | 후쿠시마 나오히로 | 고토 야스노리 (後藤康徳) | 사사키 카즈히로 (佐々木一浩) 唐远界 | 고토 케이스케 혼다 에미 | ||
リヴァイアサンが来た 레비아탄이 왔다 | 타카하시 타츠야 | 키무라 노부카게 스즈키 키요타카 (鈴木清崇) | 타카다 쿄스케 (高田恭輔) | 고토 케이스케 | |||
제7화 | 魔王を倒しちゃった 마왕을 쓰러트렸다 | 쿠로카와 아유미 쿠보 미츠토시 오오시마 유키 이케타니 요시아키 | |||||
제8화 | 高原の魔女の偽物が出た 가짜 고원의 마녀가 나타났다 | 후쿠시마 나오히로 | 이시쿠라 켄이치 | 야마모토 류타 (山本隆太) | 이와이 유키 (岩井優器) 카네코 유지 (金子優司) | 혼다 에미 | |
제9화 | 娘がスライムから戻れなくなった 딸이 슬라임에서 인간으로 돌아오지 못하게 되었다 | 야스나가 유타카 | 코지마 케이스케 | 이마이즈미 류타 쿠메타 요시유키 | 이마이즈미 류타 하야카와 모토키 (早川元基) 히라노 쇼 타카나시 토모미 (高梨友美) 모리야 하루키 타니구치 시게노리 무카에 치하루 와타나베 잇페이타 | ||
제10화 | 吟遊詩人が来た 음유시인이 왔다 | 타카하시 타츠야 | 토미이 나나세 | 코지마 케이스케 사이타마 | 고토 케이스케 혼다 에미 | ||
제11화 | キノコを食べて子供になった 버섯을 먹고 어린이가 되었다 | 야스나가 유타카 | 키타가와 토모야 키무라 노부카게 | 카시와 아츠시 (柏 淳志) | 이케타니 요시아키 오오시마 유키 쿠보 미츠토시 | ||
제12화 | 喫茶店を開いた 카페를 열었다 | 후쿠시마 나오히로 | 오마타 신이치 키무라 노부카게 | 키무라 노부카게 | 이케타니 요시아키 오오시마 유키 쿠보 미츠토시 쿠로카와 아유미 사이타마 |
8. 회차별 WEB 예고편 [편집]
| |
| |
| |
| |
| |
| |
| |
| |
| |
| |
|
9. 해외 공개 [편집]
9.1. 대한민국 [편집]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2021년 2분기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들여와 자막으로 방영했다. 담당번역은 조희영, 종합편집은 김소정이 맡았다.
9.2. 미국 [편집]
북미에서는 크런치롤에 의해 자국어 더빙이 결정되었다.# 제목은 정발판을 따라가서, I've Been Killing Slimes for 300 Years and Maxed Out My Level로 정해졌다. 더빙 스튜디오는 Studiopolis에서 진행된다.
10. 평가 [편집]
전체적으로 각자의 개성을 잘 살린 성우들의 목소리와, 스태프의 꾸준한 작화 실력으로 보는 내내 힐링하기에 충분했다는 반응으로 일상물계에서 수작 수준의 애니메이션이라는 평이 주를 이뤘다. 장문 제목 판타지 작품들의 수준이 영 절망적이었던 사례가 많았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나름 무난한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이후 비슷한 장르에 더 좋은 작품들이 많이 나와 수작이라는 평가를 받기가 어려워졌다.
작화의 경우 1화부터 잘 만들어진 귀여운 그림체와 좋은 퀄리티로 호평을 받았다. 작화와 연출은 아주 좋다곤 못해도 무난한 수준. 라이카의 친정편 에피소드는 액션씬이 좀 빈약한 편이지만 눈에 띄는 작붕은 없는 편이다. 해당 작품은 이세계물이지만 일단 슬로우 라이프 판타지라는 일상물에 속해 있기 때문에 그러려니 하고 넘어간 점이 크다. 일상물 치고는 액션씬을 잘 살렸다는 평가를 받는 것.
유독 작화질이 다른 6화는 매드하우스의 후쿠시 유이치로 프로듀서 사단에게 하청을 준 에피소드로 애니메이터가 초호화이다.
스토리 부분에서는 평가가 좋지 않다. 옴니버스 형식을 통해 초반부터 줄줄이 사탕식으로 주요 인물들의 소개만 하는데, 덕분에 본격적인 스토리 전개의 기반이 대다수 잘려나갔다. 마왕성 사건의 복선이 나오는 거대 슬라임 에피소드가 통으로 생략된 등.[7][8] 또한 스토리 진행이 매우 급진적이다. 1화 프롤로그에서 주인공이 평온하고 느긋한 인생을 언급하지만, 1화 오프닝 직후부터 300년이 지나는 데에 4분 밖에 걸리지 않는 상당한 급전개가 이어진다. 이때 대사 간 텀이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일상물치고는 호흡이 짧아 "슬로우 라이프"라는 주제에 대한 몰입이 어렵다.
연기력들은 대체적으로 호평을 받았지만, 초반 부분에서 주인공 아즈사 아이자와를 맡은 유우키 아오이의 연기에 대한 비판이 많았다. 일단 원작 팬들이 생각했던 목소리와 너무 다르다는 비판이 주가 되었고, 일반적인 모에 애니의 히로인 보이스도 아니라서 많은 시청자들이 적응하기 힘들다는 비판도 많았던 것. 하지만 작품 분위기가 모에와 거리가 멀고 개그성이 짙어서 해당 연기톤이 낫다는 평도 있다. 그래도 연기력에 문제는 없기에 익숙해지는 시점에서 비판은 줄어들었다.
11. 흥행 [편집]
중국에서는 빌리빌리 동분기 애니 조회수 1위를 달성했다. 거미입니다만, 문제라도?와 함께 인기를 끌고 있는데 빌리빌리 무직전생 서비스 중단 사태의 영향으로 이세계물 수입이 덜 되어서 수요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호평에 힘입어 흥행이 잘 되었는지 2022년 TVA 2기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이러한 호평에 힘입어 흥행이 잘 되었는지 2022년 TVA 2기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1] 츠리타마 조감독, GATCHAMAN CROWDS insight 조감독[2] 아즈사 아이자와의 성우.[3] 프라토르테의 성우.[4]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5] 원화 카리야 노부히데, 모리 토모코, 하라시나 다이키, 나가사와 레이코, 카메자와 란, 사이토 케이이치로, 쿠가이 노리후미, 이감수, 세오 켄, 사토 토시유키 , 오가사와라 신 등.[6] 매드하우스의 후쿠시 유이치로 사단 하청편.[7] 사실 2천년대 중반 이후 원작 홍보용으로 싸게 뽑으려는 양산형 1쿨 애니들이 난무하는 현실이다 보니 필연적으로 생길 수밖에 없는 한계점이다.[8] 후술된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이런식으로 급전개로 나오는건 홍보용 중에서도 심한 경우에 속한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